중소기업 인력난과 지역경제 두 마리 토끼 잡는 ‘3자 연합 모델’ 제안
– 제조업 60.8% 인력난 호소, 중장년 채용 의향도 52.2% 달해 –
지역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이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은퇴를 앞둔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의 지역 귀촌·취업을 통해 인력난과 지역경제 침체를 동시에 해결하자는 새로운 제안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지역 중소기업 인력난 현황 및 정책과제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과 제주를 제외한 지역 중소기업의 51.4%, 제조업의 경우 60.8%가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술·생산직(35.3%)과 서비스직(27.7%)의 인력난이 두드러졌으며, 원인으로는 ‘낮은 급여·복리후생’(32.9%), ‘인구 감소 및 인재 유출’(12.4%) 등이 꼽혔다.
이 같은 인력난은 지역경제의 생산 기반을 약화시키고, 기업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반면 수도권에는 베이비붐 세대(1955~1974년생) 약 800만 명이 집중돼 있어, 은퇴 후 일자리와 안정된 삶을 동시에 찾는 세대의 지역 전환이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경협은 이를 위해 ‘베이비부머 지역경제 Boom Up 프로젝트(3자 연합 모델)’를 제안했다. 이 모델은 ▲수도권 중장년 ▲지역 중소도시 ▲지역 중소기업 등 세 주체가 상생하는 구조로, 중장년층의 귀촌과 지역 중소기업 취업을 연결해 일자리·인구·경제 세 축을 동시에 활성화하는 구상이다.
조사 결과, 지역 중소기업의 52.2%가 50대 이상 중장년 채용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인력난을 겪는 기업은 그 비율이 60.7%로 더 높았다. 중장년 근로자의 강점으로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31.0%), ‘책임감과 성실성’(29.9%), ‘낮은 이직률’(18.2%)이 꼽혔다.
또한 응답 기업의 45.8%는 ‘3자 연합 모델이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으며, 정책과제로는 ‘귀촌 중장년 채용 시 기업 인센티브 지급’(23.5%), ‘임대주택 등 안정적 주거시설 제공’(21.0%), ‘맞춤형 직무교육 및 재취업 프로그램 운영’(13.8%) 등을 제시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지역 중소기업의 인력난은 단순히 고용 문제를 넘어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성과 직결된 사안”이라며 “수도권 중장년의 경험과 기술이 지역 산업 현장으로 스며들면 지역경제 활성화와 내수 확대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제안이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동시장 재편의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수도권 집중 해소와 지역 균형발전,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라는 세 가지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핵심은 ‘중장년이 일할 수 있는 지역 일자리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다.
귀촌·재취업을 유도하는 정책적 인센티브와 더불어, 지역 중소기업이 인재를 붙잡을 수 있도록 근로환경 개선과 복지 향상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자료제공=한국경제인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