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언론 살릴 ‘미디어바우처법’…입법 시급하다”

국회에서 열린 ‘미디어바우처법 제정 토론회’ 현장. 참석자들은 ‘지역언론의 생명수’라며 조속한 입법화를 촉구하고 단체사진을 찍은 모습이다. (사진제공=한국지역신문협회)

국회서 토론회 열려…“광고 감소·구독 급감, 고사 직전 지역언론 구명책”

지역 언론의 위기를 극복할 해법으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국회에서 터져 나왔다. 독자가 선택한 언론사에 바우처를 통해 공적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가짜뉴스 근절과 건강한 저널리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과 한국지역신문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여야 의원 9명과 언론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열띤 논의를 펼쳤다.

주제 발표에 나선 이용성 전 한서대 교수는 “미디어바우처는 시민이 직접 지원 대상을 선택할 수 있어 언론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선호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은 “양질의 콘텐츠 제작 동기를 부여하는 건강한 미디어 생태계를 만드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유병욱 강원일보 본부장은 “독자 선택 경쟁 구조가 지역밀착형 기사 확산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으며, 이영호 한국지역신문협회 부회장은 “광고시장 축소로 고사 직전인 지역 언론에 미디어바우처는 사실상 ‘생명수’”라며 조속한 입법화를 호소했다.

박수현 의원은 “국민이 좋은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는 공정한 제도를 통해 수도권 중심 언론 환경을 개선하겠다”며 법안 제정 의지를 밝혔다.

토론회에 참석한 언론계 관계자들은 “세부 설계는 이후 논의하더라도 법 제정이라는 큰 틀에서의 합의가 먼저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번 논의가 지역 언론의 재정 자립과 고품격 저널리즘 구현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국지역신문협회 공동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