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숙 의원 고립·은둔 청년, 시흥시 첫 논의 시작

▲ 시흥시의회가 장곡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고립·은둔 청년 지원’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 사진제공=시흥시의회

지역사회가 함께 풀어야 할 과제, 조례 제정과 지원체계 구축이 시급

시흥시의회가 한지숙 의원이 좌장으로 지난 9월 30일 ‘고립·은둔 청년 지원 정책토론회’를 열고, 청년들의 사회 복귀와 회복을 위한 첫 논의를 시작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역사회가 그동안 수면 아래 있던 ‘청년 은둔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청년 은둔, 개인 문제가 아닌 사회적 현상

경기복지재단 박규범 연구위원은 발제에서 “고립·은둔 청년 문제는 개인 성격이나 일시적 요인 때문이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고립, 정서적 불안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진단했다. 이는 단순 복지 차원을 넘어, 교육·고용·심리 지원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종합 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시흥시 현황과 과제

시흥시는 아직 실태조사조차 없는 초기 단계다. 관련 조례도 마련되지 않아 제도적 기반이 부족하다. 전문가들은 ▲실태조사 선행 ▲조례 제정 ▲지역 특화 지원모델 구축을 우선 과제로 꼽았다.

인천과 경기도의 선행 사례처럼 자조모임, 단계별 회복 프로그램, 청년 친화적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 현장의 목소리와 대안

토론회에는 청년정책 현장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조윤정 인천 청년미래센터 팀장은 “가상회사 프로그램 등을 통해 은둔 청년이 안전하게 사회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단계적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지은 경기도미래세대재단 과장은 “기초지자체야말로 맞춤형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며 지역 밀착형 정책을 주문했다.

시흥시 청년청소년과 신경희 과장은 “청소년기부터 청년기까지 이어지는 연속적 지원체계 구축이 행정의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 한지숙 의원, 의회의 역할과 향후 방향 제시

좌장을 맡은 한지숙 의원은 “고립·은둔 청년 문제는 더 이상 개인의 몫이 아니라 지역이 함께 풀어야 할 사회적 과제”라며 “의회가 정책적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시의회는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고립·은둔 청년 지원 조례 제정,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맞춤형 지원체계 마련 등을 집행부와 협의해 추진할 계획이다.

시흥시는 현재 고립·은둔 청년 지원의 ‘출발선’에 서 있다. 이제 필요한 것은 문제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실태조사와 제도적 안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청년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지역사회 차원의 공감과 연대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단순한 행사가 아닌, 시흥시가 ‘고립·은둔 청년 문제’를 사회적 의제로 끌어올린 출발점이다. 향후 실질적인 정책 설계와 예산 반영, 그리고 청년들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현장 중심 지원이 뒤따를 때, 비로소 청년들의 사회 복귀와 회복이 가능해질 것이다.

한지숙 의원이 좌장으로 고립·은둔 청년에 관한 토론회가 열리고 있는 모습이다(사진제공=시흥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