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다쳤을 때, 방심은 금물… “작은 충격도 뇌손상 위험”

사진)조경근 센터장(사진제공 / 한양대학교 교육협력병원 센트럴병원)

머리를 다치는 사고는 일상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지만, 겉으로 드러난 상처보다 뇌에 가해지는 충격이 더 클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증상이 즉시 나타나지 않거나 미약해 보여 가볍게 넘기기 쉽지만, 시간이 지나며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중증외상 환자 중 두부 손상 비율은 42.2%로 가장 높았고 치명률 또한 45.8%에 달했다. 외상성 머리 손상의 원인은 추락·낙상이 56.1%로 가장 많았으며, 운수사고가 33.6%를 차지했다. 최근에는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수단 사용이 증가하면서 젊은 층과 청소년에서 발생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조경근 한양대학교 교육협력병원 센트럴병원장(뇌센터장)은 “두부외상은 초기 증상이 미미해도 시간이 지나면서 악화할 수 있다”며 “머리를 부딪혔다면 반드시 전문 진료와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부외상은 충격의 세기와 위치, 사고 상황에 따라 단순 타박에서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뇌출혈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두피 손상은 멍이나 찢어짐, 출혈이 쉽게 발생하지만 대체로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 그러나 출혈이 계속되거나 상처가 깊으면 봉합이 필요하다. 외관상 상처가 없어도 두통, 어지럼증, 구토, 기억 혼란 등이 동반되는 뇌진탕은 반드시 관찰이 필요하며, 증상이 반복되거나 악화되면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사고 충격이 클 경우 두개골 골절이 생길 수 있고, 귀나 코에서 피나 맑은 액체가 나오면 기저부 골절을 의심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가장 치명적인 형태는 뇌출혈로, 뇌압 상승으로 의식 저하, 마비, 발작 등이 급격히 진행될 수 있어 신속한 응급조치가 필수다.

머리를 다쳤을 때는 환자가 스스로 괜찮다고 말하더라도 최소 24~48시간은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반복되는 구토, 심해지는 두통, 의식 저하, 말 어눌함, 시야 흐림, 팔다리 마비나 감각 이상, 발작, 귀·코에서 피나 맑은 액체가 나오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중증 외상의 신호이므로 즉시 의료기관으로 옮겨야 한다.

두부외상은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만큼 예방이 최선이다. 전동킥보드, 자전거, 오토바이 이용 시 헬멧 등 보호장비 착용을 생활화하고, 어린이 활동 공간에는 충격 완화 매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령자의 경우 낙상 위험이 큰 욕실이나 계단에는 미끄럼 방지 설비를 갖추는 등 안전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조경근 병원장은 “두부외상은 연령과 상관없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사고임을 기억해야 한다”며 “특히 어린이와 노인은 증상 표현이 어려워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사고 후 두통, 구토, 의식 변화 등 이상 신호가 나타나면 지체 없이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