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사-원시선 전철 완공돼도 차량운행 차질’ 운행할 차량, 소사-대곡구간 사업자가 맡아

[사진] 사진은 소사-원시선 복선전철과 소사-대곡구간 복선전철 사업이 포함된 서해선 복선전철 노선도와 주변지역 교통망을 표시한 그림이다.

함진규 의원, 문제해결에 나서

<속보> 2016년 완공을 앞두고 있는 소사-원시선 복선전철 노선이 완공된다고 해도 이곳을 운행할 차량제작비가 사업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자칫 전철운행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어 파란이 예상되고 있다.<관련기사 본보 12월 2일자 400호 7면>

국토부와 함진규 · 원혜영 의원 등에 따르면 “소사-원시선 복선전철과 이어져 있는 소사-대곡구간 전철사업비에 이 구간을 운행할 차량제작비 예산이 들어가 있어 소사-대곡구간 건설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2016년 소사-원시구간 복선전철이 완공되더라도 전철운행이 불투명할 것”이라는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이처럼 문제가 벌어진 이유는 “소사-원시구간과 소사-대곡구간은 같은 서해선 노선임에도 소사-원시구간은 일반철도로 건설되고 있는 반면, 소사-대곡구간은 광역철도로 추진되고 있어 비슷한 시기에 철도를 완공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일반철도로 건설되는 소사-원시구간은 100% 국비로 추진되지만, 광역철도로 추진되고 있는 소사-대곡구간은 구간을 지나는 서울시와 경기도가 철도건설비의 25%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분담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가 분담하게 될 25%의 분담비율은 잇따른 추가협상으로 10%까지 떨어졌지만, 이들 자치단체들이 지난 2월 국토부에 비용을 부담하지 않겠다고 통보하는 바람에 소사-대곡구간 전철 건설이 난관에 봉착하고 있다.

특히 원시-소사-대곡구간을 운행할 서해선 전철 차량제작비는 소사-대곡구간을 건설하게 될 현대에서 맡기로 결정되어 있어 2014년 소사-대곡구간이 착공해도 5년 뒤인 2019년은 되어야 완공되기 때문에 2016년 완공되는 소사-원시구간은 운행할 차량이 없다는 문제가 벌어진다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가 불거지가 국토부 철도투자개발과 관계자는 본보와 가진 전화통화에서 “소사-원시구간을 먼저 운행할 차량의 수요예측과 차량구입에 필요한 용역을 2014년 초 발주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900억원 가량의 예산을 반영, 누가 차량을 구입하게 될지 등을 새로 결정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함진규 의원은 “같은 서해선 구간임에도 자치단체가 건설비용의 일부를 부담하게 될 소사-대곡구간을 소사-원시구간처럼 일반철도로 전환하고 정부가 모든 비용을 부담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조속한 전철건설을 주문하며 문제해결에 나서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