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국가책임제, 주제포럼 서울대에서 개최”

보건복지부 이재용 노인정책과장 주제발표
[사진]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치매국가책임제도에 대한 주제토론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본보 김동인 발행인(오른쪽 두 번째)이 보건복지부 이재용 노인정책과장 등 참석 패널들이 토론을 벌이고 있는 모습과 현장의 모습이다.

‘치매국가책임제도’를 주제로 한 포럼에 패널로 참석한 본보 김동인 발행인이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노인문제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정책콘텐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29일 오후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목련홀에서 개최된 ‘제1회 서울대 AWASB포럼’ 패널로 참석한 본보 발행인은 ‘건강 100세를 생각한다’는 주제토론에서 이 같이 주장하고 정부의 정책반영을 주문했다.

토론에서 김 발행인은 “전국 47개 치매안심센터를 일률적 기준으로 252개로 늘리려는 것은 지역별 인프라 격차 등 여건과 실정을 고려하지 않은 것 아닌가”라는 의문을 제기했다.

또 그는 “센터설립에 자치단체가 800억을 추가 부담해야 하고, 해마다 20%에 해당하는 운영비를 부담해야하는데, 2005년 지방사업으로 이양된 선례도 있어 자칫 치매지방책임제도로 변질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발행인은 “센터 조직이 간호사와 사회복지사 등 채용조건이 거의 동일한데, 치매카페 등을 운영하는 쉼터지원팀의 경우 음악이나 미술 등 다양한 전문인력이 채용되어야 하고, 인식개선홍보팀은 홍보전문가가 필요할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또 그는 “치매종류가 70가지나 되고, 증상이 나타나는데 15년이 걸리는 등 치매 특유의 특성이 있다”며 “혈관성 치매는 예방이 가능하고, 알츠하이머성 치매도 조기진단이 중요한 만큼 예방과 홍보활동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교육과 관련, “치매전문가 양성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고, 기본교육에 이은 심화교육 등 수준별 전문가 교육이 이뤄지도록 정부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포럼은 보건복지부 이재용 노인정책과장이 치매국가책임제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뒤 한국시니어연구소 김재용 박사의 사회로 본보 김동인 발행인과 노동훈 카네이션요양병원 원장, 최종수 우리메디칼 대표, 차정민 CHA&BODY 원장 등 6명이 참석, 서울대 교수와 교직원, 동문 등 100여명의 관계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