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제조 중소기업의 외국인 유학생 활용 확대 방안 간담회를 주재한 오영주 중기부 장관과 심우정 법무부 차관이 참석 기업ㆍ대학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속보> 중소 뿌리산업과 제조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이 법무부 협조 아래 중기부 중심으로 추진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지난 18일 오전 한국공학대학교 본관 2층 회의실에서 대학·기업·외국인과 간담회를 열고 ‘제조 중소기업 외국인 유학생 활용 확대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약 17만명에 이르고 이들 가운데 35.4%가 국내 기업에 취업하기를 희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업과 유학생 간 구인·구직 정보의 미스매칭, 비자 발급의 어려움 등으로 실제 취업으로 연결되는 비율은 10%를 넘지 못한다는 게 중기부 설명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기업과 외국인 유학생 간 정보 비대칭 해소를 위한 외국인 일자리 매칭 플랫폼 구축, 비자 발급 및 재직 지원 등 국내 유학생 활용 기반 고도화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대학 관계자들은 국내 중소기업에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취직하기 위해서는 제조 중소기업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접근성, 중소기업이 희망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맞춤형 인재 양성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에 참가한 기업과 한국공학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 관계자 등은 중소기업 내 유학생 활용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업무협약 참가자들은 산학 연계형 교육 확대 등을 통해 현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우수한 유학생을 중소기업에 적극 유치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중소기업의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방안들을 같이 강구해야 한다”고 말하고 “제조 중소기업에 특화해서 유학생들을 많이 취업시킬 수 있도록 연결해 드린다면, 단기간에 인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겠느냐 하는 생각을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간담회를 지켜본 기업과 대학 관계자들은 “외국 유학생들 전공이 졸업 후 곧바로 중소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이ㆍ공계 유학생의 전체적인 비중이 늘어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하고 “현장을 이해하는 정부 노력과 대학에 대한 지원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