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매화지구 도시개발, 정부정책에 편승해야”

(사진설명)

사진은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16일(화) 윤석열 정부 5년간 주택 270만호를 공급하겠다는 발표를 하는 모습이다. 이를 계기로 시흥 매화지구 도시개발 사업도 정부정책에 포함시켜 사업이 탄력을 받도록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우리 시흥 지역사회에 확산되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시흥 매화지구 도시개발 사업을 직접 수행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따라 시흥시와 시흥도시공사는 정부 승인을 얻은 뒤 사업을 스타트 하고, 후에 경기주택도시공사(GH)를 끌어들이는 대안이 검토되고 있다.

시흥시와 시흥도시공사, 시흥시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성훈창 의원(부의장) 등 복수 관계자에 따르면 시흥도시공사는 17일 오전 시흥도시공사 4층 회의실에서 개최된 의원 간담회에서 이같은 상황을 설명했다는 것이다.

이로인해 시흥시와 시흥도시공사는 “중앙투융자 심사를 받은 뒤 2,000억원 가량의 공사채를 발행, 빠르면 2025~2026년 사업을 시작 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를 위해서는 “중앙투융자 심사 용역을 맡는 연구소와 사전 협의를 통해 1조2,000억 규모의 사업진행 절차를 상의하고 승인이 이뤼지면, 다음 절차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시작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 참여는 “당장, 공사 사장이 공석인데다가 공사 부채비율 400%(350%)를 넘어설 경우 사업에 참여할 수 없는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추후 끌어들이는 방안”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시흥시 관계자는 “그린벨트 해제 등 사업의 공공성 때문에 시흥 매화지구 도시개발 사업은 민간주도로 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흥도시공사와 사업추진 방안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지난 16일(화) 국토부 주관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을 발표하면서, 윤석렬 정부 5년간 270만호의 주택공급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정부정책에 시흥 매화지구 도시개발 사업이 포함될 경우, 사업추진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에 따라 지역사회의 총체적 노력이나 여론 결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