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서울대 대학본부에 시흥캠퍼스 실시협약 체결 철회를 요구했다. 서울대총학생회와 단과대학생회 등으로 이뤄진 ‘서울대 시흥캠퍼스 철회를 위한 학생대책위원회’는 지난 23일 오전 서울대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체결된 시흥캠퍼스 실시협약이 밀실에서 체결된 졸속 협약이라며 철회를 요구했다.<사진제공/서울대총학생회>
<속보> 서울대학교가 ‘시흥캠퍼스 조성을 위한 실시협약’ 내용을 시흥시와 달리 설명하면서 “기숙형 대학 건설과 각종 연구센터 병원 등을 설립할 계획이 확정되지 않았음”을 보도 자료로 공식 확인했다.
서울대학교는 지난 22일 배포한 ‘시흥캠퍼스 조성 실시협약 체결에 대한 해명자료’를 통해 시흥시가 금일 배포한 보도자료 내용 중 “시흥캠퍼스는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건설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각종 연구센터 및 병원 등을 설립할 예정”이라는 사항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서울대학교는 “향후 시흥캠퍼스의 발전방향에 대해 학내 모든 구성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신중하게 결정할 계획이다”며 시흥시의 주장을 공식 보도자료로 부인해 시흥시가 기회 있을 때 마다 약속했던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건설과 병원 설립”은 예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서울대학교는 2016년 8월 22일(월) 경기도 시흥시 및 배곧신도시 지역특성화사업자와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조성’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했지만, 실시협약 내용에는 서울대가 위와 같이 공식 확인한 것처럼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과 병원 설립은 실시협약 내용에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뉴스라인 사설]
“대학이 소유하고 있으면, 캠퍼스라 부를 수도”
그러나, 진정한 캠퍼스 대학(원)이 있어야 한다
캠퍼스(campus)라는 용어를 우리말 사전에서 찾아보면 대략 두 가지 뜻으로 풀이된다. 하나는 “학교의 마당이나 운동장”을 뜻하고, 다른 하나는 “주로 대학의 구내를 가리킨다”라고 되고 있다. 결국, 캠퍼스는 대학의 구내(構內)를 의미한다.
백과사전에서 캠퍼스를 찾아보면 더 자세하다. 캠퍼스는 전통적으로 단과대학이나 대학 및 관련 기관 건물들이 위치한 부지를 가리킨다고 되어 있다. 이 또한 대학의 구내를 의미한다.
백과사전은 또 “일반적으로 캠퍼스에는 도서관, 강의실, 기숙사, 공원 같은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고 되어 있다. 더불어 “현재 이러한 정의는 교육용이든 교육용이 아니든 간에 해당 기관에 속한 건물들을 통틀어 부른다.”라고도 되어 있다.
용어대로라면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는 교육용이든 교육용이 아니든 간에 서울대학교에 속한 건물들이면 캠퍼스라고 부를 수 있다”는 뜻으로도 이해된다.
백과사전은 캠퍼스라는 단어가 특히 지금의 프린스턴 대학교, 과거 뉴저지 칼리지가 특정한 도심 공간을 나타내기 위하여 18세기의 초기 수십년에 이르는 시기 동안 처음 채택하였다고 유래를 설명했다.
나중에 다른 미국 단과대학들 몇 군데에서도 학교 소속 기관의 각 필드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 용어를 받아들였으나, 당시 캠퍼스는 대학교 재산 전반을 뜻하지 않았다. 학교는 캠퍼스라 불리는 하나의 공간, 필드라 불리는 장소, 야드라 불리는 다른 장소를 소유하기도 했다.
20세기 들어 이 용어는 기관 재산 전반을 포함하는 데까지 그 뜻을 넓혀나갔다. 이런 뜻이라면, 앞서 나온 용어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서울대학교가 소유하고 있으면, 캠퍼스라고 부를 수도 있다는 뜻이 된다.
캠퍼스는 또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1950년대에 이르기까지 이전의 뜻이 적용되기도 하였다. 또, 여러 건물과 더불어 회사 사무건물이 있는 지역을 캠퍼스라 부르기도 한다.”고 정의되고 있다.
그 예로 “워싱턴 레드먼드의 마이크로소프트 캠퍼스뿐만 아니라 병원에서도 이 용어를 소속 시설물이 있는 위치로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후 캠퍼스라는 용어는 유럽의 대학교에까지 쓰이게 되었으나, 대개 이러한 기관들은 건물들이 위치한 공원 같은 잔디밭이 아닌, 도심 환경에서 각 건물의 재산을 가리키는 용어로 자리매김했다.
서울대에는 현재 인문대학을 비롯해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간호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등 모두 16개 학부가 있다. 또 전문대학원으로 보건대학원, 행정대학원 등 11개 대학원이 있다.
백과사전 정의처럼 서울대 시흥캠퍼스에 이들 대학이나 대학원 하나 들어오지 않아도 캠퍼스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희망했던 진정한 의미의 시흥캠퍼스는 이런 백과사전적 정의가 하니라, 우리말 사전에 나오는 대학의 구내임이 틀림없다.